부동산, 주식, 제태크 정보

주식 사는 법 (ft. 호가창 보는 법)

♩♪ 2021. 4. 20.

주식 사는 법 (ft. 호가창 보는 법)

주식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했다면 주식 어플을 깔더라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하실지 막막하실 텐데요, 막상 알고 보면 주식을 사고파는 것은 그 원리를 알면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주식의 가장 기본은 호가창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주식 호가창 보는 법도 아주 중요합니다.

이에 아래에서 주식 사는 법 및 호가창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 목차 -


    1. 주식 호가창 보는 법

    주식 사는 법 이전에 호가창 보는 법을 먼저 익혀야 하는데요, 호가창이란 주식의 가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화면입니다.

    호가창은 기준선을 중심으로 가격이 형성되어있고, 해당 가격에 걸려있는 매물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런 정보는 차트에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호가창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호가창 이미지와 함께 용어 및 의미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호가창

     

    해당 호가창은 키움 증권의 영웅문 S 주식 어플의 삼성전자 10단 호가창 모습인데요, 중심선을 기준으로 위아래 10개씩의 호가를 보여주기 때문에 10단 호가창이라고 부릅니다.

    참고로 모든 증권사의 호가창이 이런 형태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키움 증권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1 중심선

    가운데 가로로 그어둔 주황색 선이 바로 중심선이며, 중심선을 기준으로 호가 단위 및 현재 호가, 매수/매도잔량이 표시됩니다.

     

    1.2 호가 단위, 현재 호가

    가운데 세로로 노란색 상자로 표시된 부분이 바로 '호가 단위'이며, 가운데 보라색 상자로 표시된 부분이 '현재 호가'이자 현재 가격입니다.

    그리고 중심선 기준 바로 위 가격이 '매도 호가', 아래의 가격이 '매수 호가'라고 합니다.

     

    1.3 매수/매도 잔량

    빨간색 상자로 표시된 부분이 바로 매수/매도 잔량이며 주식 매물을 의미합니다.

    왼쪽 위에 있는 것이 '매도 잔량'이며 오른쪽 아래 있는 것이 '매수 잔량'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자면 81,100원에 걸려있는 매도 잔량이 290,528주이며, 81,000원에 걸려있는 매수 잔량이 24,325개입니다.

    현재 가격이 변하기 위해서는 매수/매도 잔량을 모두 없애야 하는데요, 만약 삼성전자가 81,200원이 되기 위해서는 81,000원에 걸려있는 매도 잔량 290,528개를 모두 사야 가격이 올라가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해당 호가에 매수/매도 주문을 걸어둔 예약 물량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1.4 체결 강도

    체결 강도는 100%를 기준으로 사는 사람이 많은지 파는 사람이 많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00%보다 위라면 사려는 사람이 많다(매수세), 100%보다 아래라면 파는 사람이 많다(매도세)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삼성전자 체결 강도가 159.25%이기 때문에 사려는 사람이 더욱 많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그렇게 중요한 지표는 아니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세요.

     

    1.5 실시간 거래 현황

    왼쪽 아래에 보이는 숫자가 바로 실시간 거래 현황입니다.

    왼쪽 숫자가 가격이며 오른쪽 숫자가 주식 수량인데요, 가장 위에서 보이는 것이 최신입니다.

     

    1.6 종목 정보

    오른쪽 위에 보이는 정보가 바로 종목 정보입니다.

    상한가, 하한가, 기준가, 거래량, 거래비용 등의 종목 정보를 보여주는데요, 여러 가지 보조 정보를 알려주는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2. 주식 사는 법

    호가창을 이해하는 것은 주식 시작의 기초 중에 기초이지만, 일부 사람들은 호가창만을 통해 단타 매매를 하시는 분들도 계실 정도로 중요한 지식입니다.

    그리고 호가창을 이해하셨다면 주식 사는 법은 아주 쉬운데요, 호가창에서 원하는 가격을 선택하면 '매수', '매도', '정정/취소' 버튼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매수를 선택하면 바로 매수 주문 화면으로 넘어가는데요, 이미지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주식 주문 화면

     

    2.1 매수, 매도, 정정/취소

    매수는 주식을 사는 것, 매도는 주식을 파는 것, 정정/취소는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수정하거나 취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81,000원인데 80,000원에 매수를 걸어놨다면 당연하 매수가 되지 않는데요, 이때 정정/취소를 할 수 있습니다.

     

    2.2 종류

    주식 거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일단은 기본적으로 '보통'과 '시장가'만 아시면 됩니다.

    보통은 내가 가격을 지정해서 매수/매도 주문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시장가는 현재 가격 그대로 매수/매도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옆에 있는 '현금'은 현재 계좌에 있는 돈만으로 매수/매도를 한다는 것이며, '신용'은 현재 계좌에 있는 돈이나 주식을 담보로 돈을 더욱 빌려서 주식을 매수/매도한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가급적 신용은 패망의 지름길이니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2.3 수량

    말 그대로 매수/매도를 원하는 주식 수량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옆에 '%'는 현재 계좌에 있는 돈(매수 시) 또는 보유 주식(매도 시)의 비중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인데요, '가능' 버튼은 100%를 의미합니다.

     

    2.4 가격

     

    매수/매도를 원하는 주식 가격을 의미하며, 호가창에서 가격을 선택했다면 이미 가격이 정해져 있으실 겁니다.

    만약 수정을 원하면 조정해주시고, 옆에 '호가'를 통해 호가창을 편리하게 불러와 선택할 수 있으며 '시장가' 체크를 통해 시장가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가' 버튼을 선택하면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을 그대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2.5 현금매수

    위에서 설명한 모든 사항들을 결정 후 '현금매수' 버튼을 누르면 매수 주문이 됩니다.

    현재 가격보다 위의 가격으로 매수 주문한다면 즉시 거래가 체결되며, 아래의 가격으로 매수 주문한다면 해당 가격이 오기 전까지는 거래가 되지 않습니다.(매도의 경우 반대)

    이렇게 걸어놓은 주문이 바로 호가창에 매수/매도 잔량이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위의 삼성전자 호가창 이미지에서 80,500원에 100주 매수 주문을 한다면 매수 잔량이 91,392개에서 +100개가 되는 것입니다.

     

     

    3. 마치며

    오늘은 주식 사는 법 및 호가창 보는 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드렸습니다.

    처음 주식을 접하는 분들께서는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호가창 하나만 이해하면 주식의 1/5은 아는 것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하시면 좋겠습니다.

    조금 도움이 되셨나요? 그럼 저는 다음에 또 다른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다른 글을 참고하세요.)